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explorer
- LiveCD(USB)
- web
- apm
- javascript
- Windows 10
- network
- script
- calculator
- SSH
- webhard
- Update
- MS Windows PE
- PC
- UNIX
- Linux
- 대항해시대
- Network Info(Tool)
- game
- program
- portable
- Command
- MS windows
- Programming
- Crack(Serial Key)
- Backup(Restore)
- FTP
- H/W
- Disk Partition
- OS(operating system)
- Today
- Total
목록Command (26)
<In Story>
http://mintnlatte.tistory.com/256 (1) 계정 생성 : 사용자 계정을 새롭게 생성한다. ● 명령어 adduser [계정명] - 패스워드 / 사용자 정보를 추가로 입력할 수 있다. (2) 계정 검색 : 생성된 계정에 대한 정보를 검색하고, 수정한다. ● /etc/passwd : 사용자 인증에 필요한 계정 정보 - beloved_test : 사용자 계정 - x : 비밀번호 - 1002 : 사용자 ID (0 : 관리자, 1~499 : 시스템계정, 500~ : 일반 사용자 계정) - 1002 : 그룹 ID - administrator : 계정정보(comment) - /home/beloved_test : 홈 디렉토리 - /bin/sh : 로그인 쉘 ● /etc/shadow : 사용자 인..
http://mintnlatte.tistory.com/257 ■ 우분투에서 계정을 생성하는 명령어는 2가지가 있다. (1) 계정생성 : debian 계열(우분투)의 경우 useradd / adduser 모두 사용할 수 있지만, 차이는 있다. ● useradd : 순수 계정만 생성해주고, 기본 셸인 sh가 할당된다. (홈 디렉토리 / 패스워드 등을 따로 설정 해 주어야함.) ● adduser : 계정생성 및 비밀번호 와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아 계정을 생성하고, 사용자가 설정한 기본 셸을 사용자의 셸로 지정해 주고 홈 디렉토리도 만들어 준다. (2) useradd 명령으로 계정 생성 - useradd로 계정을 생성 시 계정은 생성 되었으나, 홈폴더는 생성되지 않는다. - 패스워드 또한 따로 등록 해 주어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