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Programming
- portable
- network
- Linux
- Windows 10
- FTP
- Disk Partition
- script
- OS(operating system)
- MS windows
- MS Windows PE
- javascript
- Update
- game
- program
- calculator
- LiveCD(USB)
- Network Info(Tool)
- H/W
- web
- Crack(Serial Key)
- 대항해시대
- Backup(Restore)
- webhard
- Command
- explorer
- UNIX
- SSH
- PC
- apm
- Today
- Total
목록카테고리 전체보기 (205)
<In Story>
http://webdir.tistory.com/205 우분투 12.04 설치시 SSH를 설치했다면 바로 설정하면 된다.설치하지 않았다면 아래와 같이 설치한다.sudo apt-get install ssh-server ( 서버용이니 클라이언트는 필요없다. )SSH 설정sudo vi /etc/ssh/sshd_config # 포트설정 Port 22 # 자동로그인파일무시 IgnoreRhosts yes # root로그인금지 PermitRootLogin no # sudo(관리자)그룹만로그인가능( 다른유저들도 ssh로그인을 가능하게 하려면 이부분 삭제 ) AllowGroups sudo 접기AllowGroups : 여기에 등록된 group만 접속 가능함AllowUsers : 이곳에 등록된 계정만 접속 가능함DenyGro..
http://mintnlatte.tistory.com/256 (1) 계정 생성 : 사용자 계정을 새롭게 생성한다. ● 명령어 adduser [계정명] - 패스워드 / 사용자 정보를 추가로 입력할 수 있다. (2) 계정 검색 : 생성된 계정에 대한 정보를 검색하고, 수정한다. ● /etc/passwd : 사용자 인증에 필요한 계정 정보 - beloved_test : 사용자 계정 - x : 비밀번호 - 1002 : 사용자 ID (0 : 관리자, 1~499 : 시스템계정, 500~ : 일반 사용자 계정) - 1002 : 그룹 ID - administrator : 계정정보(comment) - /home/beloved_test : 홈 디렉토리 - /bin/sh : 로그인 쉘 ● /etc/shadow : 사용자 인..
http://mintnlatte.tistory.com/257 ■ 우분투에서 계정을 생성하는 명령어는 2가지가 있다. (1) 계정생성 : debian 계열(우분투)의 경우 useradd / adduser 모두 사용할 수 있지만, 차이는 있다. ● useradd : 순수 계정만 생성해주고, 기본 셸인 sh가 할당된다. (홈 디렉토리 / 패스워드 등을 따로 설정 해 주어야함.) ● adduser : 계정생성 및 비밀번호 와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아 계정을 생성하고, 사용자가 설정한 기본 셸을 사용자의 셸로 지정해 주고 홈 디렉토리도 만들어 준다. (2) useradd 명령으로 계정 생성 - useradd로 계정을 생성 시 계정은 생성 되었으나, 홈폴더는 생성되지 않는다. - 패스워드 또한 따로 등록 해 주어야 ..
http://coffeenix.net/doc/shell/introbashscript.htm 원문: http://www.linuxnewbie.org/nhf/intel/programming/introbashscript.html날짜: ?저자: X_console shellscope@yahoo.com제목: BASH 쉘 스크립팅 입문: 버전 1.2 리눅스에서 쓸 수 있는 모든 쉘들처럼, BASH(Bourne Again Shell)은 뛰어난 명령 라인 쉘이면서, 그 자체로도 하나의 스크립팅 언어이다. 당신은 쉘 스크립팅을 이용해서 쉘이 가진 능력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으며, 쉘 스크립팅이 아니었으면 수많은 명령을 필요로 했을 많은 일들을 자동적으로 처리할 수도 있다. 당신의 리눅스 박스에 놓여 있는 많은 프로그램들은..
* 2012년 02월 13일 14시 30분 수정 됨 - 일부 오류와 잘못된 설명을 수정하였으며 글의 주제와 상관없는 부분은 삭제하였습니다.http://cappleblog.co.kr/53 BCD 는 Bootmgr 부트 매니저의 부팅 환경 설정 파일입니다. 이러한 BCD 는 "Bootmgr 부트 매니저의 시작이자 끝" 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 말인 즉슨, 결국 NTLDR 에서도 그러했듯 Bootmgr 도 부팅 환경 설정을 수정하고 편집하는 것이 우리가 할 거의 대부분의 작업이란 것이죠. 이러한 BCD 는 동일한 역할을 수행하던 이전의 Boot.ini 에 비해 그 뭐랄까... 음... 시작 전 BCD 만 따로 기본 개념이나 구조에 대한 밑밥을 좀 깔아두고(?) 시작하는게 좋습니다. 그래서! 밑밥을 좀 깔아..
http://kjvvv.kr/201422 LiFo PE v0.72-dev를 배포합니다.현재는 오픈 베타 상태이며 일부 기능이 안정적으로 작동하지 않습니다. 현재 unionfs등의 파일시스템을 이용해서 리포PE를 재시작해도 데이터를 보존하는 것을 구현하고 있습니다.구현하는 데에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으로 예상되는 바,일부 버그가 수정된 다음 버전의 리포 PE를 마이너 업그레이드로 배포하고,해당 기능에 대한 구현은 다음 버전(v0.8)으로 연기하기로 하였습니다. 로그인시 사용자 아이디/비밀번호는 root/linuxforum 입니다. 현재 버전- v0.72-dev 변경 사항- MATE에서 입력 전환이 되지 않는 문제 수정 (@옥돌) (XKB 관련 오류는 다음 버전에서 수정 예정)- Krusader 추가 (@b..
http://kjvvv.kr/211222 LiFo PE v0.8-rc1을 배포합니다.현재는 오픈 베타 상태이며 일부 기능이 안정적으로 작동하지 않습니다. 현재 리포PE를 재시작해도 데이터를 보존하는 것을 구현하고 있습니다.이 버전(rc1)은 해당 기능 구현에 대한 초기 작업입니다. 로그인시 사용자 비밀번호는 linuxforum 입니다. 많은 사용과 소문 부탁드립니다 ^&^ 현재 버전- v0.8-rc1 변경 사항- 리눅스 커널 3.18.0으로 업그레이드- 부팅 메뉴에 'Hardware Debug Mode' 추가 - 시스템 로그인 시 사용자 이름을 입력하지 않아도 되도록 변경 - 더 많은 유무선랜 지원- 한/영 변환 기능 향상- 무선랜 속도 향상- 시간 표시 문제 2차 수정- ISO 파일이 USB로 부팅되지..
http://edoli.tistory.com/124http://blog.kurien.co.kr/54 리눅스를 USB에 가지고 다니자리눅스는 독특하게도 하드 드라이브 대신에 USB에 설치할 수 있습니다. 컴퓨터에서 USB 부팅을 하면 언제든, 어떤 컴퓨터에서든 리눅스를 실행할 수 있습니다. 개인 노트북을 가지고 있지 않은 학생 같은 경우 학교 컴퓨터를 쓰다보니 같은 컴퓨터에서 작업할 수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런 경우 USB에 리눅스를 설치해서 어떤 컴퓨터를 사용하든지 자신의 작업 환경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여러 컴퓨터를 옮겨다니면서 작업해야 하시는 분은 포터블 리눅스를 만들어 보세요. 굉장히 유용하게 쓰일 수 있을겁니다. 포터블 리눅스를 만드는 두 가지 방법포터블 리눅스를 만드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