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explorer
- Windows 10
- game
- script
- Crack(Serial Key)
- javascript
- portable
- Programming
- 대항해시대
- UNIX
- Disk Partition
- network
- Command
- LiveCD(USB)
- apm
- Backup(Restore)
- SSH
- calculator
- FTP
- Update
- Network Info(Tool)
- H/W
- web
- program
- MS Windows PE
- OS(operating system)
- MS windows
- Linux
- webhard
- PC
- Today
- Total
목록카테고리 전체보기 (205)
<In Story>
http://sourceforge.net/projects/roundcubemail/files/
http://muritzy.tistory.com/922 최근 블루님의 도움으로 데비안 OMV및 TVHeadend 설치를 완료 하였습니다. Debian Linux Wheezy 설치 http://cafe.naver.com/mk802/book4866170/8039 OpenMediaVault(OMV) NAS 서버 설치 http://cafe.naver.com/mk802/book4866170/8047 TVHeadend 빌드 및 설치 http://cafe.naver.com/mk802/book4866170/8047 그리고 설치관련으로 복습으로 하면서, 좀 더 데비안에 대한 관심이 많아져서 데비안 데스트탑 모드를 가상(버츄얼박스)으로 설치하여 사용해 보고 있습니다. 역시 데비안쪽 관련 자료가 우분투에 비해서는 웹상에 알..
https://ko.wikipedia.org/wiki/TCP/UDP의_포트_목록 잘 알려진 포트(well-known port)는 특정한 쓰임새를 위해서 IANA에서 할당한 TCP 및 UDP 포트 번호의 일부이다. 일반적으로 포트 번호는 다음과 같이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다. 0번 ~ 1023번: 잘 알려진 포트 (well-known port) 1024번 ~ 49151번: 등록된 포트 (registered port) 49152번 ~ 65535번: 동적 포트 (dynamic port) 대부분의 유닉스 계열 운영 체제의 경우, 잘 알려진 포트를 열려면 루트 권한이 있어야 한다. 이 번호는 강제적으로 지정된 것은 아니며, IANA의 권고안일 뿐이다. 가끔 각 포트 번호를 그대로 사용하지 않고 다른 용도로 사용하..
http://teus.me/276 Notepad2.ini=%WINDIR%\Notepad2-%USERNAME%.iniNotepad2.ini=%APPDATA%\Notepad2.ini 이번에도 두 달만의 업데이트. 그동안 Scintilla는 3.5.6에 이어 3.5.7까지 업데이트되었는데, 이를 반영한 업데이트다. ANSI 모드에서 한자→한글 역변환이 안 되던 버그가 수정되었다. 이 내용들을 포함한 수정 버전은 아래 링크에서 다운받을 수 있다. 언제나 그렇듯이 한/영 x86/x64 버전이 모두 들어있다.
http://www.subnet-calculator.com/ ● 서브넷 마스크 메인이 아닌 어떤 가공을 통한 네트워크를 만들기 위해 씌우는 마스크 주어진 ip주소를 네트워크 환경에 맞게 나누어 주기 위해 씌워주는 2진수의 조합 ● 서브넷 마스크를 나누는 이유 -브로드캐스트 도메인을 나누어서 네트워크의 효율성을 높이고, -IP주소를 아끼기 위해서(필요한 ip를 생각해서 subnet할당) -내부 네트워크의 구조화, 단순화 ● default subnet mask - A class(8bit): 255.0.0.0 1111 1111 . 0000 0000 . 0000 0000 . 0000 0000 - B class(16bit): 255.255.0.0 1111 1111 . 1111 1111 . 0000 0000 . 0..
별도의 설정이 없이도 EXT2, EXT3, EXT4 파티션의 파일들을 읽을 수는 있지만, 쓰는 것이 불가능합니다. 리눅스가 설치된 파티션을 아예 표시되지도 않죠. 간단한 설정을 위해 원하는 파티션에 마우스 우클릭 후 'Ext2 Management'를 클릭합니다. 첫번째 빨간박스의 'Mount volume in readonly mode'가 선택되어있으면 읽기만 가능합니다. 파일쓰기도 가능하게 하려면 해제하면 됩니다. 두번째 빨간박스는 자동으로 마운트 하도록 설정하는 것입니다. 이를테면 윈도우에서 저절로 인식하지 못하는 파티션을 위와 같이 'Automatically mount via Ext2Mgr'을 설정하고 원하는 문자를 설정합니다.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