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대항해시대
- Backup(Restore)
- Linux
- portable
- network
- PC
- web
- LiveCD(USB)
- Programming
- Update
- SSH
- javascript
- game
- webhard
- H/W
- calculator
- MS Windows PE
- Command
- MS windows
- Crack(Serial Key)
- Network Info(Tool)
- OS(operating system)
- FTP
- explorer
- script
- UNIX
- Windows 10
- program
- apm
- Disk Partition
- Today
- Total
<In Story>
리눅스에서 NTFS 포맷하기 // [OS] [Linux] [Command] [Program] [Disk Partition] 본문
리눅스에서 NTFS 포맷하기 // [OS] [Linux] [Command] [Program] [Disk Partition]
<In Story, Hi story, History> 2015. 5. 5. 15:56리눅스의 기본 파일 시스템은 ext이나, 외장형 HDD를 사용할 경우 윈도우PC에서도 사용하기 위해 NTFS로 포맷을 해야 할 경우가 있다.
리눅스에서 HDD는 보통 /dev/sda, /dev/sdb 이런 식으로 인식되고 파티션이 여러개가 있을 경우 그 뒤에 번호가 붙는다. 예를 들어 /dev/sda HDD에 2개의 파티션이 있으면 /dev/sda1, /dev/sda2 이런 식이다.
리눅스PC에 외장 HDD를 연결하면 /dev 폴더에 새로 HDD 이름이 나타나게 된다. HDD를 연결하기 전과 후에 터미널창에서 아래와 같이 검색해 보면 볼 수 있다.
ls /dev/sd*
이제 외장 HDD의 이름과 파티션을 찾아서 NTFS로 포맷하면 되겠다. 루트(root) 권한을 필요로 하며, 터미널창에서 아래와 같이 입력하면 된다. /dev/sdc1 파티션을 포맷하는 경우이다.
sudo mkntfs -f /dev/sdc1
-f 옵션을 주지 않으면 내용을 전부 0으로 채운 다음에 포맷을 하므로 대용량 HDD일 경우 시간이 상당히 오래 걸린다.
오픈수세 리눅스의 경우엔 이 명령을 sudo로 실행할 수 없으니, su 명령으로 먼저 루트가 된 다음에 mkntfs 명령을 실행하자.
su
mkntfs -f /dev/sdc1
최근에 공개된 주요 배포판에는 대부분 기본적으로 설치되어 있을 것 같네요. 실제 확인한 것은 오픈수세 12.2, 데비안 7.0, 크런치뱅 10, 리눅스 민트 13 정도입니다. 만약 설치되어 있지 않다면 ntfsprogs 패키지를 설치하면 되구요.
최근 리눅스 배포판들은 대부분 NTFS 파티션을 읽고 쓸 수 있습니다. 윈도우와 듀얼부팅하면 윈도우쪽 파티션에 다 접근 가능합니다.
--------------------------------------------------------------------------------------------------------
ext3 파일시스템으로 포맷하시기 원하면
[root@localhost ~]# mkfs.ext3 /dev/sda2
ext2 파일이스템으로 포맷하시고 싶으면
[root@localhost ~]# mkfs.ext2 /dev/sda2
다음과 같이 ntfsprogs를 설치하시면(주인장 왈: fedora 10에서는 기본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유틸임다. 패쓰~~)
[root@localhost ~]# sudo yum install ntfsprogs (redhat 계열)
[root@localhost ~]# sudo apt-get install ntfsprogs (debian 계열)
ntfs 포맷도 가능합니다
[root@localhost ~]# mkfs.ntfs /dev/sda2
fat32로 포맷은
[root@localhost ~]# mkfs.vfat -F 32 /dev/sda2
'OS(operating system) > Unix,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 Distributions Info site, 리눅스 배포판 정보(순위) // [OS] [Linux] [Web] (0) | 2015.05.30 |
---|---|
리눅스 관리자가 알아두어야할 50가지 // [OS] [Linux] [Web] [Network] [Command] (0) | 2015.05.26 |
/bin/false, /sbin/nologin 의 차이점 // [OS] [Linux] [Command] (0) | 2015.05.17 |
리눅스 디스크 관리 fdisk 사용법2 // [OS] [Linux] [Command] [Disk Partition] (0) | 2015.05.05 |
리눅스 디스크 관리 fdisk 사용법 // [OS] [Linux] [Command] [Disk Partition] (0) | 2015.05.05 |
우분투 ssh/rsa, sftp 설정 // [OS] [Linux] [Ubuntu] [FTP] [Network] (0) | 2015.05.05 |
리눅스 계정 관리 명령어(adduser, usermod, userdel) // [OS] [Linux] [Command] (0) | 2015.05.05 |
useradd와 adduser의 차이점 // [OS] [Linux] [Command] (0) | 2015.05.05 |
Linux Debian Download // [OS] [Linux] (0) | 2015.04.30 |
데비안 웹서버 구축 3부 - SVN (Subversion) 설치 및 설정 // [OS] [Linux] [Debian] [Web] [Network] (0) | 2015.04.04 |